본문 바로가기

기계 공학112

자동차공학)현가장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를 스프링 등으로 연결하여 주행 중 도로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바퀴가 지면에 잘 접촉하도록 하여 타이어의 마찰 구동력을 높임으로써 자동차의 승차감, 주행성,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연가장치는 구동바퀴의 구동력과 제동 시 제동력을 차체(또는 프레임)에 전달하여 선회할 때 원심력을 이겨내 차체가 올바른 위치를 갖도록 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자동차의 앞뒤 바퀴는 각각 다르게 작동하기 때문에 현가장치도 달라져야 한다. 현가 장치는 좌우 바퀴를 하나의 차축으로 연결시킨 차축 현가식과 좌우 바퀴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독립 현가식이 있다. 현가장치의 구성요소는 노면에서 받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섀시스프링과 섀시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 2024. 1. 13.
자동차공학)동력전달장치 4WD 구성 자동차 동력전달 장치 중 4WD의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전기식 트랜스퍼 2. 전자식 트랜스퍼 1. 전기식 트랜스퍼 ETS(Electrci shift transfer) 4WD는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2륜 구동과 4륜 구동이 이루어지며, 크게 시스템 제어부분과 시스템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구학적 메커니즘의 2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분은 TCCU(Transfer Case Control Unit)를 중심으로 각종 센서 및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선택한 주행 모드로 시프트 모터를 작동시킨다. 기구학적 메커니즘 부분은 '4H' 모드 선택 시는 직결, '4L' 모드 선택 시는 유성 기어 세트에 의해 2.48:1의 감속이 이루어지며 앞바퀴로의 출력은 트랜스퍼 케이스 내의 구.. 2024. 1. 13.
자동차공학)동력전달장치 센터 차동장치(4WD) 센터 차동장치는 풀타임 4WD 차량에서 전후륜의 회전속도 차를 흡수하는 장치이다. 일반차량은 앞바퀴만을 꺾어서 선회하기 때문에 선회 중의 전륜은 후륜보다 외측으로 가게 된다. 즉 선회 중의 전륜은 후륜보다 빨리 회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전후륜을 구동하는 트랜스퍼에 디퍼렌셜 기어를 설치하지 않으면 4WD는 구동계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큰 회전 시에 노면상태에서 따라서 선회특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유성 기어 세트(planetary gear set)를 사용한 유성 기어식 센터 차동장치(planetary gear center differential), 전후, 좌우 2조의 차동장치로 2쌍의 베벨기어를 사용한 베벨기어식, 비스커스 커플링식 및 다판 클러치식 센터 차동장치가 있다. 1. 유성 기어식 센터 .. 2024. 1. 11.
자동차공학)동력전달장치 4륜 구동장치(4WD) 4륜 구동장치(4WD, 4 Wheel Drive)는 4바퀴 모두 구동한다는 의미이고, 엔진의 구동력을 전, 후륜 차축으로 적절히 배분하는 장치라 하여 트랜스퍼 케이스(동력배분장치, transfer case) 혹은 간단히 트랜스퍼라고도 한다. 4WD는 4륜 구동이 가능하므로 4바퀴 중 어느 한 바퀴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도 나머지 3바퀴가 구동하므로 험한 길이나 모래땅에서 접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2WD 차량에 비하여 등판능력과 견인력은 물론 조향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형식은 주로 군용 차량에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RV 차량은 물론 승용차에까지 적용되고 있다. 1. 파트타임 4WD 2. 풀타임 4WD 1. 파트타임 4WD 4WD 차량에서 2륜 구동 혹은 4륜 구동을 자유롭게.. 2024. 1. 9.
자동차공학)동력전달장치 분할차축식 (차축) 승용차에 사용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차축과 자동차 중량을 지지하는 액슬 하우징을 별도로 조립한 방식을 말한다. 차동장치는 차체에 직접 장착되고 차축에는 자재이음과 슬립이음이 조립되어 좌우가 각각 개별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독립 현가장치를 병용한다. 1. 링크식 2. 스윙식 3. 트레일링 1. 링크식 이 형식은 V자형의 링크를 차체에 설치하여 그 끝에 액슬 하우징을 지지하면서 상하 운동을 하는 형식이다. 이 형식은 링크와 뒤 차축이 일치되어 상하 운동을 하므로 축의 길이변화가 없다. 2. 스윙식 좌우 바퀴는 액슬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이며 차동장치를 섀시나 차체에 장착하고 차체에는 자재이음을 설치하여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3. 트레일링 차체 양쪽에 주행 방향의 평행.. 2024. 1. 8.
자동차공학)동력전달장치 일체 차축식 (차축) 차축(axle)은 부착되어 있는 바퀴를 통해 차의 무게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차축과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고 단지 차의 무게만을 지지하는 유동륜 차축으로 나눌 수 있다. 구동륜 차축은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과 노면에서 받는 상하, 전후, 좌우 방향의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FF 차량에서는 앞차축이 FR 차량에서는 뒤차축이 4WD 차량에서는 앞뒤 차축이 여기에 해당한다. 유동륜 차축은 구동륜 차축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FF차량에서는 뒤차축, FR 차량에서는 앞차축이 여기에 해당한다. 차축은 구조상으로 현가 방식에 따라 좌우 한 바퀴를 한 개의 차축으로 결합한 일체 차축식(rigid axle)과 좌우 바퀴가 각각 별도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분할 .. 2024. 1. 7.